반응형

Issue Tracking 23

Xcode Build Folder 바뀐 위치

Unity용 mac osx Plugin을 개발하려고 하다가 bundle을 빌드 하는데 빌드하고 나온 bundle 위치를 찾을 수가 없었다. 예전에는 xcode안에서 볼 수 있었던거 같은데 이제는 어디있는지 알수 없어 찾다가 위치를 알게되었다. ~Library/Developer/Xcode/DerivedData 로 이동하면 나의 xcode project들이 있는데 거기서 해당되는 프로젝트로 들어가 Build/Products/Debug | Release 로 가면 찾을 수 있다.

Issue Tracking 2022.01.13

module 'numpy.random' has no attribute 'default_rng'

gensim을 사용하려고 하다가 다음과 같이 numpy.random has no attribute default_rng Error가 생겼다 해당 에러는 numpy version을 업데이트 하던가 아니면 나같은 경우 gensim을 사용하려다가 발생한 에러라 gensim을 다운그레이드 해야 한다. numpy는 업데이트 하게 되면 다른것들에 영향을 또 끼치게 되어 개발이 피곤해 지기에 나는 gensim을 다운그레이드 하였다. gensim을 지우고 3점대 버전으로 다시 사용하려고 하는데 pip uninstall gensim 명령어만으로는 부족하였다. gensim이 여전히 최신 버전을 사용하려고 하였다. 그리하여 나는 직접 pip package가 설치되어 있는 directory로 이동하여 gensim을 지우려고 ..

Issue Tracking 2021.12.26

UAAL android.content.res.Resources$NotFoundException: String resource ID #0x0

Android에서 Unity를 Library로 사용하기 위해 UAAL(Unity as a Library) 기능을 사용해보려고 하였다. Unity를 사용하면 내가 구현하고자 하는 기능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기 때문이었는데 사용하다가 아래와 같은 에러가 생겼다. android.content.res.Resources$NotFoundException: String resource ID #0x0 Android Resource쪽에 뭔가를 쓰려고 하는데 그것이 없어서 발생하는 문제로 보였는데 역시나 Android UAAL에서 기본으로 참조하는 resource가 있었다. 해당 에러는 안드로이드에 values/string.xml 파일에 아래의 것들을 추가해주면 해결되는 문제이다 Settings Game view

Issue Tracking 2021.12.20

[iOS] Failure starting audio queue \M-3<…>

iOS에서 STT와 TTS를 이용한 작업을 하다 2개를 번갈아 가며 사용하려고 하는데 STT를 사용하다가 TTS를 사용하려고 하니 아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Failure starting audio queue \M-3 찾아보니 audioSession.setCategory를 사용해 audio 사용에 관해 명확히 지정을 해야 한다고 나왔다. NSError* error; [[AVAudioSession sharedInstance]setCategory:AVAudioSessionCategoryPlayback error:&error]; AVSpeechUtterance *utterance = [AVSpeechUtterance speechUtteranceWithString:textStr]; utterance.voi..

Issue Tracking 2021.11.02

[Unity][ERR_STREAM_DESTROYED]: Cannot call write after a stream was destroyed

Unity로 프로젝트를 만들고 열다가 문제가 발생하면서 에디터가 열리지 않는 문제가 발생 했습니다. 그땐 프로젝트의 최상단 경로에서 Library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ScriptMapper 파일을 찾아 삭제한 후 다시 프로젝트를 열면 문제가 해결되었습니다. ScriptMapper가 어떤 파일인지 잘 모르겠지만 생성 시간이 과거로 되어 있던데 지웠다가 다시 프로젝트를 여니 새로 생성되는걸로 봐선 과거에 설정되어 있는 값을 가져와서 문제가 되는것 같습니다. 다시 생성되게 하면 해결되네요

Issue Tracking 2021.10.30

[Android] Execution failed for task ':app:mergeLibDexDebug'.> Failed to calculate the value of task ':app:mergeLibDexDebug' property 'numberOfBuckets'

오랜만에 안드로이드 개발을 하다보니 AndroidX라고 하는것에 대해 잘 몰랐는데 AndroidX와 관련해 에러가 발생했다 Execution failed for task ':app:mergeLibDexDebug'. Failed to calculate the value of task ':app:mergeLibDexDebug' property 'numberOfBuckets' 이슈를 해결하는 방법은 간단히 AndroidX를 Migrate 하면 된다 1. Mac의 경우, Android Studio > Refactor > Migrate to AndroidX 를 클릭 2. gradle.properties를 아래와 같이 세팅해준다 이렇게 하고 나면 문제는 다 해결된다.

Issue Tracking 2021.10.25

[Unity] unity android multidex problem

Unity에서 Android 빌드시 빌드는 됐는데 앱을 실행하자마자 앱이 죽어버리는 문제가 발생했다. 로그를 확인하니 아래와 같은 RunTime Exception이 발생하였다. Unable to instantiate application androidx.multidex.MultiDexApplication: java.lang.ClassNotFoundException: Didnt find class "androidx.multidex.MultiDexApplication" on path ..... 찾아보니 해당문제는 multidex 설정만 해주면 해결되는 문제였다. 1. 문제가 발생하는 유니티 프로젝트에서 Assets/Plugins/Android/mainTemplate.gradle 파일을 고쳐준다 위의 이미지에..

Issue Tracking 2021.10.23

The type or namespace name 'UI' does not exist in the namespace 'UnityEngine'

Unity에서 작업 하다 갑자기 에러가 발생! 에디터도 한동안 계속 열리지 않아 당황했는데 자세히는 모르겠으나 유니티에서 사용하는 내부 코드가 꼬인듯 해결책은 의외로 간단한데 프로젝트 폴더로 들어가 "Visual Studio C# Project"와 "Visual Studio Solution" 파일을 삭제 후 다시 프로젝트를 열면 해결된다. 해당 파일들에서 뭔가가 꼬였을때 발생하는 문제인거 같은데 프로젝트를 열때마다 다시 생성되는 파일들이다.

Issue Tracking 2021.10.22